[Spring] 의존 관계 자동 주입 이전 포스트에서 공부했던 ComponentScan은 @Component가 붙은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자동으로 등록해주었다. ComponentScan을 사용하면 개발자가 일일이 스프링 빈을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생긴다. 하지만 문제는 ComponentScan을 사용하면 설정 클래스에 의존 관계...
[spring] 의존 관계 자동 주입
[spring] 컴포넌트 스캔
컴포넌트 스캔이란? @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자동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. 이전엔 개발자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할 객체에 @Bean 붙여 직접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했었다. 하지만 이제는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하면 개발자가 직접 하나하나 객체에 @Bean 을붙여 주는 일은 없을 ...
[spring]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 등록하기
인프런의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[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 - 인프런 강의](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스프링-핵심-원리-기본편) 오늘은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해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하고 조회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....
[java] 객체 지향 설계
개요 오늘은 자바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중 하나인 객체 지향을 정리 하려 한다. 이 글은 순수자바로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보여주는 글이다. 우선 객체 지향이란 무엇일까? 아마 처음 자바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만나는 개념일 것이다. 모든 강의에서 처음부터 강조하는 개념이니..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란? 프로그램을...
[http] 쿠키, 세션, jwt
쿠키, 세션, JWT 모두 상태를 무상태인 HTTP 프로토콜에서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.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HTTP 기반으로 동작하고있다. HTTP는 무상태(Stateless) 구조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. HTTP가 무상태인 이유? 상태를 저장하지 않으면 서버는 각 요청을 개별적으로 처리하...
[http] stateful vs stateless
Stateful(상태유지)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.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서버의 세션(Session) 메모리에 저장한다. 대표적인 Stateful 구조는 TCP 프로토콜이 있다. TCP 3 way hadsahake 과정을 보자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요청(SYN)을 전송한다. 서버에선 요청을 수락(A...
[git] 원격저장소 초기화
Git 초기화 순서. 1 로컬저장소의 .git 디렉토리 삭제 rm -rf ./.git 2 로컬 저장소에 초기화 git init 3 초기화된 파일 커밋 git add . 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 4 원격 저장소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(원격저장소 url) 5 마지막으로 ...
[jdbc] connection pool
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획득 과정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. DB드라이버는 DB와 TCP/IP 커넥션을 연결한다. 이과정에서 3way handShake같은 TCP/IP같은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이루어짐. 연결된 커넥션에 ID,PW와 부가 정보 전달 DB는 넘어온 ID,PW로 내부인증...
[jdbc] datasource
DataSource란?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을 추상화하는 인터페이스. public interface DataSource { Connection getConncetion() throws SQLException; } 이전에는 Connection을 획득할 때 는 JDBC의 DriverManager 기술만을 의존해왔다. 커넥션풀을 사용하는...
첫 포스팅
첫번째 페이지 입니다.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.